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이어폰 없이 걷는 10분, 뇌가 깨어난다|디지털 디톡스와 청각 회복의 놀라운 효과 안녕하세요 Sorinomad입니다. 정말 오랜만입니다. 그 동안 여러가지 이슈 ?!들이 많아 블로그를 소홀히 했었는데요 다시 힘을 내어 블로그를 재개 하려 합니다. 여러분들 무선 이어폰들 많이 쓰고 계실텐데 전철이나 버스에서 유튜브 쇼츠 , 틱톡 등 많은 콘텐츠들을 정신없이 보고 계시죠? ( 내 저도 가끔 무아지경에 빠집니다.) 오늘은 건강한 청력 즉, 귀를 위한 디지털 디톡스에 대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해보죠! ▷ 목 차 ◁1. 소리를 잃은 일상 2. '무음 산책'이 뇌에 미치는 영향 3. 주의 회복 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의 과학적 근거4. 귀를 열면 감각이 살아난다5. 디지털 소음에서 벗어나는 작은 실천 6. 마무리: 오늘 당신의 귀는 .. 2025. 7. 20.
음악이 미치는 생리적 반응이란 ? 안녕하세요 소리노마드 (Sori Nomad) 입니다. 오늘은 음악이 미치는 생리적 반응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음악의 생리적 반응음악은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일시적인 효과와 장기적인 효과를 가진다.① 일시적인 효과음악을 들으면 뇌의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 분비가 변화한다.스트레스 감소: 음악 감상 시 코르티솔(스트레스 호르몬) 감소진통 효과: 음악이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하여 통증 완화심박수 및 호흡 조절: 음악의 리듬과 템포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침면역력 증가: 음악 감상 시 면역세포 활성화② 장기적인 효과오랜 기간 음악 경험을 하면 대뇌 구조 변화가 발생한다.뇌의 신경가소성 증가: 음악 연주는 뇌의 뉴런 연결을 강화기억력 향상: 음악이.. 2025. 3. 11.
음악 치료의 역사적 배경 안녕하세요 소리노마드(SoriNomad)입니다. 음악치료 주제로 두번째 글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음악치료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음악치료가 고대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발전 해 왔는지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합니다. 함께 공부 해 보아요~ 고대부터 19세기 말까지의 음악치료치료나 회복의 도구로 음악이 사용되어 온 것은 인류 문명이 시작되면서부터였다. 음악이 어느 정도의 영역까지 치료와 깊이 관여되었는가는 시대마다 형성된 사회문화적 환경과 질병에 대한 이해에 따라 달랐지만, 생물학적 측면에서 질병을 이해하게 된 것은 그리 오래 전의 일이 아니다(Sigerist, 1948).음악의 사회적 기능을 인식하게 되면 사회 예술로서 음악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데 음악은 늘 사회의 가치와.. 2025. 3. 4.
음악치료란 무엇인가? - 개념과 적용 안녕하세요 소리노매드(Sorinomad)입니다.  소리의 심리에 대해 여러 주제를 다루어 왔고 그에 따라 소리의 영향이 우리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을지 계속해서 공부를 하고 싶다는 열망에 쌓였습니다. 하여 소리치료 상담 즉, 음악치료에 대해 공부를 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이 소리치료 상담의 카테고리에는 음악치료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어 볼 예정입니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자료를 정리하기 위해 블로그에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열공하겠습니다. 아자아자 ~~  음악치료의 개념1) 음악치료의 정의미국음악치료협회(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에서는음악치료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음악치료는 치료적인 목적, 즉 정신과 신체 건강을 복원, 유지,향상시키기 위하여 .. 2025. 3. 4.
소리의 3요소 (높낮이,음색,크기) 소리의 3요소(높낮이,음색,크기): 소리의 본질을 이해하는 핵심 안녕하세요! 소리노마드입니다. 소리는 우리 일상에서 감정과 분위기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음향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소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면 소리의 3요소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입니다. 소리의 3요소는 높낮이(음의 높이), 크기(음량), 음색(소리의 색깔)로 구성됩니다. 자 그럼 포스팅 시작합니다.  1.소리의 높낮이: 주파수와 음정의 조화소리의 3요소 중 첫 번째는 높낮이입니다. 높낮이는 음의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며, 소리의 고저를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피아노의 고음과 저음 키를 비교하면 주파수가 높을수록 소리가 날카롭고, 낮을수록 깊은 소리를 냅니다.음의 높이는 감정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5. 2. 25.
노이즈 캔슬링 부작용- 청각정보처리 장애 (ADP) 안녕하세요 소리노마드 입니다. 얼마전 뉴스에서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하루 5시간 이상 착용한 25세 영국 여성이 청력검사에서 정상으로 나왔지만 정밀 검사에서 ADP 청각정보 처리 장애 판정을 받았다고 합니다. APD는 귀에서 소리를 정상적으로 들리더라도 뇌가 소리정보를 올바르게 해석을 하지 못하는 장애를 말합니다.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노이즈 캔슬링을 이용하므로 일상의 소음을 모조리 차단함으로써 뇌가 소음을 처리하는 기능을 잃어버릴수 도 있다는 무시무시 한 내용이 었습니다.지금까지는 노이즈 캔슬링이 귀의 건강을 도와준다고 믿고 해당 기능이 있는 헤드폰이 이어폰을 사용해 왔으나 향후 각별한 주의를 해야하겠습니다. 노이즈 캔슬링 부작용에 대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 2025. 2. 24.
반응형